popup zone

  • 팝업이 없습니다.

동국인의 제안

바로 제안해 볼까요?

교육

강의평가 통계를 상세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 김 * 동 님
  • 2025-07-26

현황/문제점

제가 수업에 대한 강의평가를 보면 저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고 전체 강의 평균과 표준편차만 나옵니다.
예전에는 순위도 나오고 대학전체 소속대학 소속학과 전임 비전임 분류 등 다양한 조건에서 강의평가 검색이 되었는데 요즘은 그렇게 안합니다.
제 추측으로는 아무래도 교수님들 자존심이 상하셔서 그런듯 합니다. 특히 정년보장교수님들이 자신들의 강의평가가 안나오면 자존심이 상해서 그런 것 같은데.
강의평가가 안좋으면 자존심 상하고 학생들 원망스럽기도 하고 여러 부작용이 있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강의평가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정년보장교수 승진이 강의평가와 연계가 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과 같이 강의평가 통계가 자세하지 못하면 조교수, 부교수님들이 자신의 위치를 제대로 파악을 못해서 승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연구년도 강의평가와 연계가 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부분도 그렇구요.
부작용이 있기는 합니다만 최소한 부교수님과 조교수님들만이라도 강의평가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제안

이전같이 다양한 조건에서 검색이 되면 좋구요.
강의평가 항목 하나하나에 대해서도 평균 표준편차가 검색되면 자신의 부족한 부문을 어느정도 알 수 있습니다.
강의평가가 실제 강의내용을 100% 정확하게 반영되지는 않지만 어느정도는 반영이 되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제 평가를 보면 제가 보기에 괜찮다고 생각되는 항목 점수가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보다 강의평가 점수가 높습니다.
교수님들이 강의평가가 나쁘면 어쨌든 고민은 해야 합니다. 강의평가 항목만으로는 이유를 명확하게 알수가 없는 부분이 아쉽기는 한데.

강의평가가 나쁜 교수님들에 대한 교육훈련프로그램 운영은 신중해야 합니다.
교수들은 자존심이 강해서 교육훈련프로그램에 연수를 받는 것에 대한 반발이 심하고 운영하는 직원들 스트레스도 상당히 높습니다.
우선은 현실을 파악하게 해주는 것이 중효합니다.

기대효과

1. 조교수 부교수님들이 자신의 현실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정년보장 및 연구년 지원에 전략을 효과적으로 세울 수 있습니다.
2. 교수님들이 자신의 현실을 어느정도 명확하게 파악하여 학생분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수업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3. 강사님들과 겸임교수님들은 다른 학교에서 강의를 하셔야 합니다.
동국대학교에서의 강의에 대한 통계를 바탕으로 자신의 수업의 질을 개선시켜 다른 학교에서 좋은 수업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됩니다.

의견작성0개

  • 댓글이 없습니다.